
이론으로만 공부할 수는 없으니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직접 해볼 수 있는 EVE-NG를 설치해보기로 하였다.
국비 교육에서는 Packet tracer나 Pnet 밖에 사용해보지 않았지만, 다양하게 사용해보고 싶어서 EVE로 결정 ㅎㅎ
무료 버전으로 다운 받았고, VMware에서 실행해볼 것이기 때문에 ovf로 다운 !

기존에 쓰던 vm의 라이센스 기한이 다되어 무료 vmware workstation도 다운해주었다.

다운받은 ovf 파일을 File->open 해서 import 시켜준다.



ID : root
Password : eve

구글 서버에 ping 테스트 후
할당 받은 ip로 접속

Username : admin
Password : eve

접속 완료
잎으로 이 곳에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하고 시뮬레이션 해보고 공부할 것이다!
<IOL 이미지 첨부>
이 부분은 후에 추가하겠음 !!

위와 같은 토폴로지를 구성해보기로 한다.

problem 1) 다음 조건대로 IP를 할당하라.
-네트워크는 몇개인가?
- IP를 할당하라? subnetmask /24
problem 2) 모든 라우터에서 다음과 같이 EIGRP 라우팅 프로토콜을 설정하라
router eigrp 100
network 10.10.0.0
problem 3) 모든 라우터 PC에서 모든 IP로 핑이 성공함을 확인하라.
problem 1)
네트워크 갯수는 6개이고 서브넷 /24로
10.10.1.0~255
10.10.2.0~255
10.10.3.0~255
10.10.4.0~255
10.10.5.0~255
10.10.6.0~255
이렇게 각 6개 대역을 써보겠다

위와 같이 ip를 구성해보았다.
- 각 VPC의 ip 셋팅 예시
ex) VPC11
VPCS> ip 10.10.2.2/24 10.10.2.1
Checking for duplicate address...
VPCS : 10.10.2.2 255.255.255.0 gateway 10.10.2.1
VPCS> save
Saving startup configuration to startup.vpc
. done
위와 같이 VPC의 IP를 설정한다.
-각 Router ip 설정 예시
ex) R1
Router>en
Router#conf t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int e0/0
Router(config-if)#ip add 10.10.1.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
위 명령어 입력 후 end해서 빠져나간 후 show run 명령을 통해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ip를 확인할 수 있다.

위처럼 라우터에 ip설정을 해준다.
라우팅 테이블에 수신한 패킷의 목적지의 해당하는 네트워크 정보가 없다면 라우터는 패킷을 버리기 때문에 모든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이 완벽해야 통신이 된다.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을 보는 명령은 "show ip route"
아래 사진은 router 2의 show ip route
C는 라우터의 Connected 네트워크 정보라는 것을 의미한다.

problem 2)
라우팅 프로토콜을 설정하면 라우터들은 서로 Connected 네트워크 정보를 교환하여 Not Connected 네트워크 정보도 올라온다.
"eigrp 100"에서 100은 AS 번호로, 회사/조직을 구분한다. 1~65535범위에서 모든 라우터에 동일한 번호로 설정해야한다.
"network 10.0.0.0"은 EIGRP 라우팅 프로토콜이 동작하는 범위를 지정하는 명령으로 다음 두가지 의미를 갖는다.
- 라우터에 연결된 네트워크 중 11로 시작하는 네트워크로 EIGRP 패킷을 보낸다.
- 라우터에 연결된 네트워크 중 11로 시작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직접 연결된 라우터에게 보낸다.

위와 같이 라우터 4개에 동일한 설정을 한다.
show ip route 명령으로 R2의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해보면,

Not Connect 된 네트워크 정보가 D(dual)로 올라옴을 알 수 있다.
Not Connected 된 네트워크 정보까지도 EIGRP를 통해 알 수 있게 된 것이다.
problem 3)

EIGRP 프로토콜로 서로 Connected된 네트워크 정보를 교환하여, Not Connected된 네트워크 정보까지 라우팅 테이블에 올릴 수 있게되었고,
R2를 예로 들면, 직접 연결된 10.10.1.0/24, 10.10.2.0/24, 10.10.3.0/24 세 대역 뿐 아니라,
나머지 네트워크 정보들도 다 알게되었기 때문에 R2에 연결된 VPC11에서 전혀 다른 대역의 PC로 핑을 해도 다 성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GP 기본 공부 - LAB 실습 (1) (0) | 2023.07.06 |
---|---|
2월 신입 집체교육 - 1일차 (2) (1) | 2023.02.20 |
2월 신입 집체 교육 - 1일차 (1) (0) | 2023.02.20 |
[Switching] 신입사원 기술 집체교육 -VLAN, TRUNK (8) | 2023.01.25 |
네트워크 구축 1 (네트워크 토폴로지,LAN&WAN)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