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공부

DTP 개념

 
 
C3560 -> N9K C93180 대개체 컨피그 변환 중
 
 switchport mode dynamic desirable 
컨피그 짜다가 처음 접해본 설정,, 최신의 장비들에선 잘 쓰이지 않는 듯하다.
 
 

 


1) DTP (Dynamic Trunking Protocol)
인터페이스는 nontrunking (access)와 trunking, negotiate trunking (Dynamic) 3가지 상태로 나뉜다.
 
1. Access : 항상 access 모드로 사용
2. Trunk: 항상 trunk 모드로 사용
3. Dynamic: access / trunk 모드 중 하나가 DTP 통해 협상됨.

 

 

  Dynamic (Auto) Dynamic (desirable) Trunk Access
Dynamic (Auto) access trunk trunk access
Dynamic (desirable) trunk trunk trunk access
Trunk trunk trunk trunk limited
Access access access limited access

 

 

dynamic desirable 은 디폴트 모드가 trunk,     dynamic auto 는 디폴트 모드가 access 라고 생각하면 된다.

dynamic 은 상대편  포트가 access/ trunk인 경우 상대 포트에 맞춰 능동적으로 협상한다.

 

dynamic desirable (dtp 먼저 보냄) - dynamic auto (수동, 상대 dtp를 수신 받은 경우 dtp를 송신) 포트 간 연결 시에는

디폴트 세팅이 trunk인 desirable 포트가 auto 에 dtp를 먼저 전송하므로 trunk로 협상이 된다.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 정리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