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순 L2 설정으로 구성해서 보내주세요, 요청이 온 경우
1) 보통 통 vlan 구조일 가능성이 크다 (vlan 1)
하지만, 정확한 설정을 위해 구성도를 물어보는 것이 좋고, vlan id, vlan ip, telnet 사용 여부를 묻는다.
2) 우리 L2 스위치를 게이트웨이로 바라보지 않는 이상, vlan에 ip 조차 심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상단과 통신이 필요하거나 telnet 접속 (관리용)이 필요한 경우, 우리 장비가 게이트웨이 역할인 경우에는
SVI vlan에 ip이 필요하다.
interface vlan 1
no shut
interface g1/0/1
no shut
switchport mode access
switchport access vlan 100 (vlan 1은 default)
단순 허브 역할이면 위 설정이면 되고
** 상단 장비 다른 대역과 통신해야할 떼 , SVI 설정 시엔 ip default-gateway x.x.x.x (gateway 주소) 설정 필요할 수 있음
ip route 0.0.0.0/0 x.x.x.x
3) 양 스위치간 interlink는 꼭 trunk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interface g1/0/1
no shut
switchport mode trunk
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0,200 (vlan 1은 default)
4) 텔넷 설정
로그인 필요한 경우
login: 로그인 시 username 없이 password 만 설정하여 접속
login local: 접속 시 username과 password 물어보는 설정 (username password를 global에서 꼭 설정하고 login local 설정 넣어줘야함,, 그냥 login local만 넣었다가 접속도 못하고 password recovery 해도 컨피그는 안날아가서 벽돌 된 적이 있다..)
no login : 패스워드 없이 텔넷 접속 가능
정말 간단한 요청인데도 무슨 소린지 못알아먹는 나는 대체... ^^ 흔한 설정 구성이니 기록용으로 적어놓는다.
'네트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vPC 정리 (개념, 용어, Case별 flow) (2) | 2024.01.22 |
---|---|
(1) BGP 실습 (개념, eBGP 및 iBGP 설정 방법) (2) | 2023.12.14 |
vPC 개념 및 케이스 정리 (0) | 2023.07.26 |
BGP 기본 공부 - LAB 실습 (1) (0) | 2023.07.06 |
2월 신입 집체교육 - 1일차 (2) (1) | 2023.02.20 |